자동으로 생성 시 서브넷을 41개나 만든다. 리전별로 다 만들어줘서 편하긴 한데 굳이 이렇게 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.
만들다 보니 AWS에서 만들었던 IGW를 붙힌 기억이 없다. gtp 답변 ->
GCP에는 AWS의 Internet Gateway와 정확히 동일한 개념은 없습니다. GCP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인터넷 연결을 제공합니다:
1. 기본 인터넷 게이트웨이: GCP의 VPC 네트워크에는 기본적으로 인터넷 연결이 제공됩니다. 별도의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생성할 필요가 없습니다[^1].
2. 외부 IP 주소: VM 인스턴스에 외부 IP 주소를 할당하면 인터넷에 직접 연결할 수 있습니다[^1].
Cloud NAT: 외부 IP 주소 없이 VM 인스턴스가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입니다[^2].
로드 밸런서: 외부 HTTP(S)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여 인터넷에서 들어오는 트래픽을 내부 리소스로 라우팅할 수 있습니다[^1].
GCP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인터넷 연결을 관리하므로, AWS의 Internet Gateway와 같은 별도의 리소스를 생성하고 관리할 필요가 없습니다. 이는 GCP의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AWS와 다르기 때문입니다.